Chosun university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10차 대비 달라진 점은?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과 비교했을 때 전력수요 전망이 크게 상향 조정되었으며, SMR과 V2G등 전력 신산업에 대한 내용들이 대폭 추가되었다..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10차 대비 달라진 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4~2038)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은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과 비교했을 때 전력수요 전망이 크게 상향 조정되었으며, SMR과 V2G등 전력 신산업에 대한 내용들이 대폭 추가되었습니다. 그중 4개의 소재를 중점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전력수요 전망 대폭 상향…첨단산업·데이터센터 영향 반영

가장 큰 변화는 전력수요 전망이 대폭 상향 조정되었다는 점입니다. 10차 계획에서는 보수적으로 예측됐던 반면, 11차 계획에서는 반도체·이차전지·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AI 확산을 반영하여 보다 현실적인 수요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2036년 기준 전력수요 전망: 최대전력(하계 기준): 10차 122.6GW → 11차 138.2GW (+15.6GW)

전력소비량(전력계통 기준): 10차 683.7TWh → 11차 707.9TWh (+24.2TWh)

데이터센터의 경우, AI 연산 수요 증가로 인해 2038년까지 전력소비량이 15.5TWh, 최대전력이 4.4GW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원전 활용 확대…탄소중립과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

11차 전기본에서는 원전을 무탄소 전원으로 지속 활용하는 전략이 강조됩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뿐만 아니라, 노후 원전의 계속운전 확대도 추진됩니다. COP28 등 국제사회가 원전의 역할을 강조하는 가운데, 한국도 탄소중립을 위한 주요 전원으로 원전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소형모듈원전 (SMR : Small Modular Reactor)을 28년까지 개발 완료하겠다는 내용도 담겨있습니다.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수정…‘체계적인 성장’으로 방향 전환

10차 전기본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6%까지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했으나, 11차 전기본에서는 계통 안정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성장’으로 방향을 수정했습니다.

10차 전기본: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공격적으로 확대

11차 전기본: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단계적 확대 및 계통 안정성 확보

이는 재생에너지 변동성으로 인한 전력계통의 불안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전략적 조정으로 평가됩니다.

전력망 투자 확대…선제적 계통 보강 추진

11차 전기본에서는 재생에너지와 신규 발전설비 확대에 맞춘 송·변전설비 확충 계획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된다.

무탄소전원 확대에 따른 계통 안정화 방안을 구체화하여, 송·변전설비를 선제적으로 확충하고, 계통 안정성을 확보하는 전략을 마련했습니다.

이는 재생에너지 변동성을 보완하고, 전력망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조치로 평가된다.